회사소개 neXt generation MerchanDising

    패션 대형사, 수입 브랜드 도입 경쟁
    2024.01.10 11:01
    • 작성자 관리자
    • 조회 1,064
    사진=오피신제네랄 / 사카이
     

    하이엔드 대부분 직진출...실적 감소

    MZ 겨냥 영럭셔리, 컨템 분야 집중

    [어패럴뉴스 이종석 기자] 패션 대형사들의 수입 사업 규모가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고 있다.

    ​유통 3사는 내년에도 고급화와 MZ세대 흡수를 위해 그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이에 수입 패션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신세계인터내서날, 삼성물산 패션부문, 한섬, LF,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 등 대형사들은 수입 브랜드 확보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MZ를 끌어들이는 데 효과적이고, 자체 브랜드 런칭과 비교해 투자 대비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 라이선스가 혼합된 브랜드를 제외한 공식 수입 브랜드는 신세계 30개, 삼성패션 21개, LF 13개, 한섬 9개, 코오롱FnC 4개로 파악됐다.

    ​삼성패션은 신규 런칭보다는 기존 브랜드들의 확장이 눈에 띈다. 현재 삼성패션의 수입 브랜드 매출 비중은 30% 안팎이다.

    ​보유 브랜드 수에서 앞서 있는 신세계는 지난해 기준 수입 패션 브랜드의 매출 비중이 60%로 대형사 중 가장 크다. 최근 발굴에 더 속도가 붙었는데, 이는 지난 몇 년간 이탈한 브랜드가 늘었기 때문이다. 올해 ‘셀린느’가 직진출했고, ‘아크네스튜디오’는 매니지먼트 계약으로 전환됐다. 매니지먼트 계약으로 전개할 시 매출은 본사로 합산되고, 전개 기업은 일정 수수료를 받는 구조로 전환된다. ‘메종마르지엘라’, ‘디젤’, ‘마르니’ 등은 유통 계약이 종료됐다.

     

    사진=브루넬로쿠치넬리 / 드리스반노튼 / 레오나드


    한섬, LF, 코오롱FnC는 후발 주자로 수입 포트폴리오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섬은 지난해와 올해 런칭이 많았다. ‘타임’, ’시스템‘, ‘마인’ 등의 강력한 자체 브랜드들이 매출 비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지만, 성장 한계가 뚜렷, 해외 브랜드를 통해 추가 성장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새해 편집숍 ‘키스(kith)’, ‘아스페시 여성’의 전개를 시작한다.

    ​LF는 핵심 브랜드 ‘바버’를 시장에 안착시킨 뒤로 ‘이자벨마랑’, ‘레오나드’, ‘빈스’ 등 브랜드 풀을 갖춰 나가고 있다. 최근 ‘핏플랍’, 작년 3월 도입한 ‘빠투’도 매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내년 ‘이자벨마랑 옴므’, ‘포르테포르테’ 육성에 집중한다.

    ​코오롱FnC는 2022년 ‘닐바렛 골프’, ‘이로맨즈’, ‘발렉스트라’에 이어 올해 ‘케이트’를 런칭하고 갤러리아 명품관에 첫 매장을 냈다. ‘이로’는 남성 매장을 늘리면서, 신흥 컨템포러리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