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명품 지난해 12%, 올해 4~6% 성장 전망
2024.02.16 14:49- 작성자 관리자
- 조회 1,074
베인앤컴퍼니, 뉴 트렌드 ‘해외 쇼핑 귀환과 다이고우의 진화’
중국 명품 소비 전 세계의 22~24%, 2030년에는 35~40% 전망
지난해 이탈리아 명품 제조업협회 알타감마와 공동 조사를 통해 글로벌 명품 시장 성장 전망을 당초 5~12%에서 4%로 하향 조정하고, 올해 전망도 1~4%로 크게 낮췄던 글로벌 컨설팅 그룹 베인앤컴퍼니는 최근 중국 명품 시장은 지난해 12%, 올해는 중간 한 자리수(4~6%) 성장이 기대된다는 새로운 보고서를 내놨다.
베인앤컴퍼니 상하이 지부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이같은 전망과 함께 지난해부터 해외 쇼핑의 귀환, 다이고우의 진화 등 두 가지 새로운 쇼핑 트렌드가 등장해 올해 중국 명품 쇼핑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중국 명품 소비는 상반기에 강한 회복세를 보이다 하반기에 꺾였고, 그 이유를 중국 경제 악화 외에도 적지 않은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쇼핑이 해외로 이전한 것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꼽았다.
그럼에도 지난해 중국 내 명품 수요는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주얼리가 가장 강한 회복세로 15~20%, 가죽 제품은 저가 핸드백을 중심으로 10~15%, 향수, 화장품의 뷰티 카테고리 8%, 시계 5~10%의 신장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행 재개로 하이난의 면세 판매도 2021년 수준에는 못 미쳤지만 전년 대비 25% 늘었다.
이에 따른 지난해 중국 내수 시장 명품 판매는 당초 예측했던 9%보다 3% 포인트 늘어난 12%로 미국의 -8%와 비교된다. 올해 미국 시장 침체로 중국의 견인 역할이 한층 강조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같은 기간 일본 17%, 아시아 8%, 유럽 7% 성장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글로벌 명품 시장에서 중국 소비 비중은 22~24%로 오는 2030년에는 35~40% (중국 내 판매 24~26%)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관련해 LVMH 최고 재무 책임자인 장 자크 기오니는 “중국 명품 수요 추정을 밝히기 어렵지만 2019년에 비해 중국 명품 고객이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베인앤컴퍼니는 지난해 중국 명품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한 명품 해외 쇼핑 귀환과 중국 다이고우의 진화가 올해는 더욱 활발하게 전개될 변수라며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해외 쇼핑의 귀환
중국 소비자들의 팬데믹 기간 중 명품 쇼핑은 국경 폐쇄로 90% 이상이 국내에서 이뤄졌으나 지난해에는 해외 관광 재개로 국내 쇼핑이 70%로 줄었다. 상대적으로 같은 기간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는 유럽이 2019년 수준의 40%, 아시아는 65% 늘었다.
이처럼 해외 쇼핑이 늘고 있는 데는 중국 본토와 외국 시장 가격 차이가 큰 것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시장의 주요 제품 샘플을 조사한 결과 패션 및 가죽 제품과 같은 카테고리에서 상당한 가격 차이가 발견됐다. 이같은 결과가 해외 명품 쇼핑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같은 가격 차이가 2022년과 비교해 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중국 해외 관광 트래픽은 코로나 19 이전에 비해 유럽 30%, 아시아는 일본과 홍콩을 중심으로 30~50% 회복된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중반에서 연말까지는 홍콩과 일본, 한국을 행선지로 하는 완전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다이고우의 진화
한국 면세 시장은 역사적으로 다이고우(구매 대행 업자)가 특히 럭서리 뷰티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지난해 해외 여행객에 대한 한국 면세품 매출은 약 600~650억 위안으로 약 3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행사에 대한 다이고우 수수료 제한과 중국 시장에서 인기있는 뷰티 제품 공급을 제한하는 브랜드들 때문이다.
이처럼 뷰티 부문에서 다이고우 활동에 대한 규제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패션과 가죽제품 부문에서 새롭고 더 전문적인 다이고우 모델이 등장했다. 보다 플랫폼화된 접근방식을 수용함으로써 다이고우 운영자가 소비자에게 인증된 경로를 제공하고 도매업체의 해외 상품을 더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다이고우 시장은 식지 않을 전망으로 향후 트렌드는 해외 도매 시장에 대한 브랜드들의 글로벌 지배력이 강조된다.
다음글 | 핵심 상권 주간 리포트 | 2024-02-16 |
---|---|---|
이전글 | 한파에 레저활동 증가...동내의 특수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