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neXt generation MerchanDising

美 의류·리테일 단체들, 트럼프 관세 정책 일제히 반대
2025.03.25 16:24
  • 작성자 관리자
  • 조회 2
 

소비자 주도 경제 안정성 저해, 350만 일자리 위협

의류신발협회, 지능형 무역 정책 가드레일 논의 제안

패션산업협 “의류 및 섬유 이미 32% 고관세 부담”

 

4월 초로 시행이 연기되기는 했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수입품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에 이어 다시 10%를 중과하겠다고 밝히자, 미국 의류신발협회(AAFA), 미국 패션산업협회(USFIA), 전미 리테일연합(NRF) 등 의류, 패션 리테일 관련 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반대하고 나섰다.

관세 인상이 소비자 주도 경제의 안정성을 해칠뿐더러 의류산업이 지탱하는 350만 명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것이다. AAFA 스티브 라마 회장은 이같은 이유를 들어 수출과 수입 모두에 이익이 되는 스마트 무역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부 관리들과의 논의를 제의하는 한편 의회가 관세를 관리하고 유익한 무역 협정을 갱신하는데 역할을 해줄 것을 촉구했다. 미국 통상 무역 정책은 전통적으로 의회가 주도해 왔던 점을 새삼 강조한 점이 주목된다.

AAFA는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사와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을 포함한 행정부 관리들과 함께 지능형 무역 전략(Intelligent Trade Strategies)을 촉진할 무역 정책 가드레일에 대해 논의를 제안했다.

라마 회장은 새로운 관세는 급속히 복잡해지고 EU와 다른 동맹국들에게도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다른 암시가 된다며, HTS의 관세 규정은 눈덩이처럼 불어나 미국 기업과 열심히 일하는 미국 가정에 점점 더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의회가 관세에 대해 헌법적으로 규정된 역할을 주장하여 무역 정책이 명확한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예측 가능한 시장 접근을 촉진하고, 무역협정 및 무역 특례 프로그램을 재활성화하도록 갱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SFIA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 무역 상대국에 내세운 관세 부과에 실망했다며 이는 지역 자유 무역 협정이 발효된 이래 30년 이상 섬유 및 의류 회사들이 형성한 복잡한 서반구 공급망과 긴밀한 무역 관계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심플한 코튼 티셔츠의 여정은 디자인부터 생산, 물류, 유통까지 서반구의 의류 및 섬유 공급망이 깊이 얽혀있어 보복 관세는 미국인들, 특히 농부, 소매업자 및 소비자들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미국산 면화는 멕시코 생산 수요의 약 60%를 공급하고 있고, 2024년의 경우 미국 의류 수입 중 31억 달러어치(약 3%)가 USMCA(미국, 캐나다, 멕시코 무역협정) 파트너인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 수입됐다는 것이다.

USFIA는 의류 및 섬유 제품은 이미 32%에 달하는 미국 수입품 중 가장 높은 관세율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중국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의류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국가로 미국 관세 국경 보호청에 따르면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은 트럼프 행정부 초기부터 섹션 301에 따라 2,200억 달러의 추가 관세를 지불했다고 덧붙였다.

NRF는 추가 관세가 미국인과 기업에 해롭다는 점을 강조하고 소비자와 가정용품 가격을 부플리는 관세 대신 국경 보안을 위한 대안 조치를 촉구했다.

미국 신발 유통업계 및 리테일 단체인 FDRA는 지난 2월 22일 마감의 미국 전역 3,000개 이상 매장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에서 매출이 지난해 같은 주에 26.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경기 순환뿐 아니라 새로운 관세로 인해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심리적 영향이 컸기 때문이라며 사려 깊고 외과적인 대안을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